스톤의 한국어강사이야기
-
음운변동 음운탈락 자음군단순화 자음탈락 모음탈락
음운탈락 자음탈락 [자음군단순화]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 시간도 음운변동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음운변동은 크게 나누어 보면 교체, 축약, 탈락, 첨가로 4분류를 할 수 있어요.오늘은 3번째, 탈락에 대해 설명하도록 할게요. 탈락도 크게 보면 '자음탈락'과 '모음탈락'으로 나눌 수 있지요.자음탈락은 [자음군단순화, 'ㄹ'탈락 'ㅎ'탈락]등이 있고요.'자음탈락'이라는 용어보다는 현상자체를 용어로 사용하는 '자음군단순화'부터 보겠습니다. 음운탈락 자음군단순화일단 '자음군단순화'는 우리말에서 종성에 오는 곁받침을 소리를 낼 때 두 자음 모두 발음하지 않고 하나만 사용해서 소리를 내는데 이것을 '자음군단순화' 라고 합니다. 이 현상은 두가지 경우가 있습니다.앞자음이 탈락하는 경우와 뒤자음이 탈락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2020.06.20
-
형태론4 관계언 조사[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
1 관계언 [조사의 정의와 특성] 오늘은 형태론의 품사편에서 관계언에 속하는 조사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사는 격조사와 보조사, 접속조사가 있는데요. 먼저 정의와 특성을 보겠습니다. 자립성이 있는 말과 결합하여 분리성을 가진 단어여서 별도 품사로 분류되어 있다. 관계를 표시하고 특별한 의미를 더한다. 단어와 단어,구와 구,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기도 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용언의 어미와 부사와 결합을 하기도 한다. 의존형태소로 분류되어 생략도 가능하다. 서술격 조사 '~이다'는 활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격조사와 보조사, 접속조사는 문법의 특징 중 하나로 한국어에서 매우 발달해 있습니다. 외국인이 배우기 힘들어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2 조사의 종류, 격조사 조사의 종류는 격조사, 보조..
2020.08.09
-
한국어학 음운축약 자음축약 모음축약
음운변동 축약 자음축약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음운변동의 축약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음운축약은 말 그대로 줄어든다는 건데요. 2개가 1개로 줄어들게 되는 음운현상이에요. 자음축약과 모음축약이 있습니다. 자음축약부터 보겠습니다. 자음축약은 [거센소리되기, 격음화, 유기음화] 라고도 합니다. ㅂ, ㄷ, ㅈ, ㄱ + ㅎ 이 만나 [ㅍ, ㅌ, ㅊ, ㅋ] 으로 하나가 되는 것인데요. 예를 들면 잡히다 [자피다] 앉히다 [안치다] 같은 현상입니다. 물론 이것도 발음할 때 변하는 거지요. 그러면 이것도 한 번 보겠습니다. 굳히다 - [구티다] - [구치다] 로 음운변동이 순서대로 일어납니다. 저번 시간에 언급하기는 했지만 [ㄷ+ㅎ] 일단 [ㅌ]으로 바뀐 뒤에 구개음화가 일어난거죠. 그래서 '축약' 과 '교체'..
2020.06.15
-
형태론3 수식언 관형사 부사
1 수식언이란 오늘은 품사에서 관형사와 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학에서 형태론. 그 중에서도 품사. 그 중에서도 수식언에 해당하는 관형사와 부사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수식언이란 체언이나 용언 앞에서 뜻을 분명하게 해주는 덧 붙인 말이다. 이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뜻을 꾸미거나 한정하는 말이다. 이 말도 같은 말입니다. 수식언은 말 그대로 수식을 해주는 말인데요. 한국어에는 관형사와 부사가 있는 겁니다. 2 관형사 그럼 먼저 관형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형사는 반드시 체언 앞에서만 올 수 있고, 체언을 꾸미고 뜻을 한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관형사는 성상관형사, 지시관형사, 수관형사 이렇게 3종류가 있어요. 성상관형사는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를 꾸며주고, 지시관형사는 대상을..
2020.08.07
-
한국어학 된소리되기 [경음화] 구개음화
음운론 음운변동 된소리되기 [경음화]저번 시간에 이어 음운론에서 음운변동의 된소리되기와 구개음화를 공부해 보겠습니다.먼저 된소리되기입니다.된소리되기는 '음운의 제약'에 따른 음운규칙의 한 형태이기도 합니다. 한국어는 소리를 낼 때 뒤에 따르는 소리가 앞소리보다 약할 수 없다는 규칙이 있는데요. 자음의 강도유음
2020.06.10